본문 바로가기

고사난자
아기집은 성장이 되지만, 안에 내용물(태아)이 없는 경우.
과배란
여러개의 난포를 키울 목적으로 과배란 약물을 투여하는 과정.
과배란주사
여러 개의 난자를 배란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호르몬주사.

나팔관
난자와 정자의 오작교
자궁과 난소를 연결하는 가늘고 긴 관으로, 이곳에서 수정이 이루어지며 수정란을 자궁으로 이동시키는 역할.
난소과자극증후군
과배란 주사를 사용함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대표적인 합병증. 과배란 주사를 사용해서 여러 개의 난자가 배란된 이후 몸속의 혈관활성물질이 증가하여 난소가 커지고 이차적으로 혈액내의 수분이 복강으로 빠져나와 복수가 차며 혈전이 생기게 되는 현상.
난임
1년(만35세 이상의 여성은 6개월)이상 피임 없이 정상적인 부부관계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성립되지 않을 경우 난임이라고 진단. 난임은 특정한 질병의 이름이 아니라 일정기간 동안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를 지칭하는 표현.
난자공여
체외수정방법을 통해 공여자의 난소로부터 난자를 채취하여 수혜자의 배우자의 정자로 수정을 시킨 후 그 수정란을 수혜자의 자궁으로 이식하는 것.
난포
난소에서 배란을 준비하면서 난자가 자라게 되는 주머니.
난포기
생리 시작부터 배란되기까지의 기간을 지칭. 생리주기 전반부에 해당하며 난포가 본격적으로 성장하면서 배란을 준비하는 기간.
난포자극호르몬
뇌하수체 전엽으로부터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의 하나로 난포를 성숙시키며 난포호르몬의 분비를 촉진.

다낭성 난소 증후군
불규칙한 생리와 초음파 상 다낭성 난소 소견, 남성호르몬 과다의 증상을 보이는 질환

무배란
배란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 일반적으로 무월경(생리가 없음)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지만 불규칙하게 생리를 하는 경우도 있음.
무월경
6개월 이상 혹은 정상 월경주기의 3배 이상의 기간 동안 월경이 없는 것.
무정자증
사정된 정액 내에 정자가 없는 경우.

배란
난포에서 성숙한 난자가 배출되는 현상.
배란유도
배란이 되지 않는 여성에게 약(배란유도제)을 투여함으로써 배란이 되도록 도와주는 과정.
배란유도제
배란이 없거나 불규칙한 여성에게 배란유도의 목적으로 처방하는 약.
배아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되어 수정란 형성 이후 세포분열이 시작되는 단계부터 임신초기(일반적으로 임신 10주)까지를 지칭. 자궁에 착상이 이루어지는 시기는 포배기배아 단계이며, 그 이전에는 세포 수에 따라 2세포기, 4세포기, 8세포기 배아 등으로 구별.
배란일
배란되는 날. 28일의 생리주기를 갖는 여성은 평균 생리시작 14일 전후가 배란일에 해당.
배아이식
체외수정시술에서 배아를 여성의 자궁에 주입하여 위치시키는 것.
보조부화술
수정란을 자궁 내에 이식하기 전 미세조작기구를 이용하여 수정란의 보호막인 투명대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착상 전 수정란의 부화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착상율을 높여주는 방법.
복강경
복강과 복강 안을 진찰 및 치료하기 위한 내시경.

생리주기
생리 시작부터 다음 생리 시작까지의 기간. 정상적인 생리주기는 25일부터 35일 정도이며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생리불순’이라고 부름.
성교 후 검사
성교 후 여성의 자궁경부 점액 안의 정자의 운동성과 수를 검사하는 난임검사 방법.
수정
난자와 정자가 합쳐져 핵이 융합되어 하나의 세포가 되는 과정. 수정과정을 거친 난자를 수정란이라고 부르며, 이후에 발육을 시작하여 '배아'로 발달.

유산
임신 20주 이내에 임신 진행이 멈춘 상태를 말함. 초음파검사에서 아기집이 보이기 이전에 유산이 되는 경우를 '화학적 임신'이라고 구별.
유산 이후 아기집(태낭)이 자궁 내에 남아있는 경우를 '계류유산'이라고 부르며, 유산 후 아기집이 배출될 경우에는 그 정도에 따라 '완전유산'과 '불완전유산'으로 구분.
유즙분비호르몬
뇌하수체 호르몬의 일종으로 유즙분비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는 호르몬.
인공수정
배란기에 배우자의 정액을 받아 효과적인 정자의 농축을 위하여 다양한 과정의 정자처리 과정을 거친 뒤, 가느다란 관을 통해서 자궁 속으로 직접 주입하는 방법.

자궁경부
질에서 자궁 체부(몸)로 이어지는 중간 부위를 말함. 자궁경부는 단순한 연결통로 이상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배란기에 정자를 통과시키는 역할과 동시에 일종의 창고와 같이 정자를 살아있는 상태로 보관하면서 임신이 가능한 기간을 늘려주는 역할을 수행.
자궁경부점액
자궁경부에 위치한 분비샘에서 호르몬의 영향으로 배란기에 임박해 맑고 투명하며 점도가 높은 점액성 분비물이 일시적으로 증가.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의 선 조직과 기질이 자궁이 아닌 다른 부위의 조직에 부착하여 증식하는 것.
자궁내막
자궁내부를 둘러싸고 있는 막을 지칭. 생리 직후 여성호르몬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혈관이 증식하고 자궁내막도 점차 두꺼워지면서 착상을 위한 준비를 시작. 배란기에 임신이 되지 않으면 호르몬이 감소하면서 두꺼워진 내막조직이 출혈과 함께 몸 밖으로 배출되는데 이것이 생리임.
자궁난관조영술(나팔관 촬영)
난관 개방성과 자궁강의 정상상태를 위한 난임 검사 방법.
자궁외 임신
정상적으로 자궁내부가 아닌 다른 장소에 착상이 이루어진 경우. 자궁외 임신 90%는 나팔관 임신이며 그밖에도 자궁각 임신, 자궁경부 임신, 난소임신, 복강내 임신 등이 있음.

착상
정자와 난자가 수정되고 나서 5~6일에 걸쳐 포배기배아 단계까지 발달한 후 자궁벽에 부착되는 과정.
착상전 유전진단
체외수정 시술에서 배아 이식 전에 배아의 유전자 검사를 하여 정상 유전자를 가진 배아를 선택하여 이식하는 방법.
체외수정시술
시험관내(배양접시)에서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성립되면 그 수정란을 자궁 내에 이식하는 배아이식과정.

화학적 임신
검사로는 임신반응이 나오지만 임신낭이 보이기전에 유산되는 경우.
황체
난자가 배출된 이후 난포가 변화하여 만들어짐. 황체호르몬을 분비하여 착상과 초기 임신 유지를 돕는 역할을 수행.
황체기
배란 이후 생리가 시작될 때까지의 기간. 즉 생리주기의 후반부를 지칭.
황체형성호르몬
뇌하수체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으로 남성에서는 남성호르몬의 형성을 촉진하고 여성에서는 배란을 유도하고 황체의 형성을 촉진.
희발월경
생리주기가 불규칙하여 35일보다 길어지는 경우.
Back to Top